반응형

IT&인터넷 132

이제는 디지털 인맥 시대가 왔다

[IT] "이제는 디지털 인맥 시대가 왔다" “넌 ‘디지털 인맥’이 몇 명이니?” 디지털 인맥이란 한 마디로 온라인상에서 맺은 ‘1촌’을 말한다. 바야흐로 오프라인 세상에서 저절로 맺어지는 혈연·학연·지연과 더불어 ‘디지털 인맥’도 든든한 ‘백’이 되는 세상이 왔다. 이를 겨냥해 그저 친구끼리 1촌을 맺는 것에서 벗어나 CEO.전문가 등과도 인맥을 구축할 수 있는 전문적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인맥구축서비스)가 속속 등장해 ‘디지털 인맥’쌓기 붐에 일조하고 있다.‘싸이월드’에 도전장을 내민 차세대 주자들을 소개한다. ◇재미를 추구하는 1세대 SNS. 싸이월드 2200만 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는 싸이월드는 한국 사람들이 ‘인맥’을 중시한다는 사실을 간파해 성공신화를 이뤘다. 특히 19~24세 ..

IT&인터넷 2008.01.08

모바일 UCC 작가가 뜬다

모바일 UCC 작가가 뜬다 김효정 기자 ( ZDNet Korea ) 2008/01/07 “그 전화 끊어요! 멀더~ 누가 전화 좀 끊어줘요. 어서 끊어요.” 벨소리 작가인 아이디 dalpharan씨는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 ‘엑스파일’의 주인공 목소리를 패러디해 만든 ‘그 전화 끊어요!’를 만들어 모키에서 54만건에 달하는 조회수를 기록했다. “야~ 빨리 일어나. 기상~ 일어나. 이 잠꾸러기야 목아퍼 죽겠단 말이야. 일어나” ‘귀여운알람벨’의 작가 ‘하늘 지기’가 만든 벨소리도 조회수 50만건이 넘을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일어나세요~ 일어나세요. 일어나라고 이 잠탱아~” 귀엽고 다소 엽기적인 목소리의 알람벨을 만든 clover0117 작가 역시 현재 50만건에 달하는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폰 ..

주류 언론의 그늘, 블로거들이 밝힌다

주류 언론의 그늘, 블로거들이 밝힌다 [미디어다음 블로거 기자상 수상식 참관 후기] 누구나 미디어를 소유할 수 있는 시대 2008년 01월 07일 (월) 13:43:02 이정환 기자 ( black@mediatoday.co.kr) 지난 4~5일 제주도에서 '미디어다음 블로거 기자상' 심사위원과 수상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1박2일에 걸친 이들의 만남 후기를 싣는다. /편집자 지난해 미디어다음 블로거기자상 대상은 쓰레기 시멘트 문제를 지속적으로 고발해 온 최병성 목사에게 돌아갔다. 최 목사의 대상 수상 소식이 알려지자 검증되지 않은 일방적인 주장일 뿐이라는 시멘트 회사들의 반론이 제기됐고 블로거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확산됐다. 문제의 쓰레기 시멘트는 철광석과 규석, 점토 등의 비싼 천연 원료 대신 일본 등에서..

SKT 멜론, 온라인 음악시장 1위 `흔들'

연합뉴스|기사입력 2008-01-08 06:00  순방문자수(UV)로도 KTF `도시락'에 밀려(서울=연합뉴스) 임미나 기자 = SK텔레콤의 음악 포털사이트 `멜론'의 1위 자리가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시장조사업체 랭키닷컴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넷째주 멜론의 주간 순방문자수(UV)는 81만명으로 KTF[032390]의 음악포털 `도시락'의 101만에 비해 20만여명이나 뒤처졌다.지난 12월 첫째주만해도 멜론의 주간 UV는 101만4천여명을 기록, 도시락의 101만3천여명에 비해 근소하게 우위를 점했으나 둘째주 98만3천여명을 기록해 99만여명이었던 도시락에 역전되기 시작했다. 이어 셋째주부터는 멜론이 92만명으로 감소한 데 비해 도시락은 100만명으로 늘어 차이가 더욱 벌어졌다.멜론은 ..

IT&인터넷/IPTV 2008.01.08

싸이월드, 매출 증대 카드는 '음악'

SK커뮤니케이션즈의 싸이월드가 올해 매출 증대 카드로 ‘음악’을 제시했다. 싸이월드 측은 7일 올 6월에 미니홈피 배경음악의 음질을 개선하고 다운로드 서비스를 추가한다고 말했다. 정태호 싸이월드 음악사업팀장은 “최근 미니홈피 배경음악을 홈피를 꾸미는 용도가 아니라 플레이리스트로 쓰려는 사용자가 늘어났다”며 “고음질 음원을 제공하고 배경음악과 연계한 다운로드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한 달 동안 싸이월드 내에서 가장 많은 곡을 판매한 기성가수와 신인가수에게 수여하는 ‘디지털어워드’ 시상식도 시상금액을 늘리는 등 확대 개최한다. 상의 개수도 늘려 신인가수의 등용문으로 자리 매김한다는 계획이다. 싸이월드 배경음악 서비스는 서비스 시작 5년 만인 작년 7월 애플 아이튠스에 이어 두 번째로 유료 ..

`푸른 이빨` 블루투스 네가 있어 자유롭다

[블루투스ㆍIT] `푸른 이빨` 블루투스 네가 있어 자유롭다 휴대폰ㆍ노트북ㆍPDA 무선으로 연결하고 전자파 적어 두 손에는 무거운 짐을 들고 있고, 목에는 머플러를 한 채 당신은 길을 걷고 있다. 이때 갑자기 바람이 불어 머플러가 날아가는데 중요한 전화가 울리기 시작하면 당신은 어떻게 하겠는가. 정답은 블루투스를 이용해 전화를 받으며 달려가 머플러를 잡는 것이다. ◆ 근거리 연결해주는 블루투스 = 블루투스(Bluetooth)는 휴대폰과 주변장치, 휴대용 단말기 등을 짧은 거리에서 무선으로 연결하는 기술을 말한다. `푸른 이빨`이라는 뜻인 블루투스는 10세기 후반에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합한 국왕 이름에서 유래됐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는 노트북PC와 휴대폰, PDA 등 정보기기 간에 자유로운 ..

IT&인터넷 2008.01.08

카툰, 인터넷을 지배하다

카툰, 인터넷을 지배하다 쿠키뉴스|기사입력 2008-01-07 09:17 |최종수정2008-01-07 09:34 [쿠키 톡톡] 타이밍, 애욕전선 이상없다, 마음의 소리, 나비효과, 야마꼬툰… 제목만 보고 이들이 무엇인지 알았다면 적어도 당신은 대한민국의 네티즌임에 틀림없다. 지금 대한민국 인터넷을 쥐락펴락 하고 있는 내로라하는 인터넷 카툰들이다. 음악, UCC, 각종 서류 작업 등 인터넷과 함께 발전한 다양한 분야가 있지만 카툰만큼 비약적인 발전을 한 분야도 없다. 각종 포탈사이트의 ‘나도 만화가’ 코너에는 수십명의 아마추어 작가들이 자신의 실력을 뽐낸다. ‘괴물2’의 시나리오 작업을 맡은 강풀, ‘애욕전선 이상없다’의 고필헌, 케이블 TV 드라마로도 만들어진 ‘위대한 캣츠비’의 강도하 등 스타들도 탄생..

NASA 화성판 ‘세컨드 라이프’ 출시 눈앞

NASA 화성판 ‘세컨드 라이프’ 출시 눈앞 2008-01-07 15:06:48 업데이트 최근 미 항공우주국(NASA)이 장기간 화성에 머물 우주비행사들을 위해 화성판 ‘세컨드 라이프’를 개발하고 있다고 지난 3일 미국 ‘와이어드’ 뉴스가 보도했다.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는 자신의 아바타를 이용해 현실과 같은 경제활동 및 생활이 가능한 세계 최대 온라인 가상현실 공간이다. 현재 전 세계에 1000만명의 회원(2007년 10월 기준)이 있으며 아시아에서도 점차 주목받고 있는 인터넷 서비스다. NASA 측은 “우주탐사계획에 따라 우주비행사들은 약 800일 동안 화성에 머물러야 한다.”며 “우주비행사들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소외감 또는 단절감’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이어 “..

장사 잘 되는 비즈니스 블로그?

장사 잘 되는 비즈니스 블로그? 블로그의 본고장, 미국에서 비즈니스 문화의 일부로 전파되기 시작한 블로그. 그만큼 기업이 마케팅과 고객관리에 블로그를 이용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상업적인 목적을 띤 ‘비즈니스블로그’의 저변도 넓다. 웬만한 글로벌기업 CEO들은 직원과 고객간 의사소통을 블로그로 한다. 이에 비해 한국은 비즈니스 블로그의 불모지. 지난해 블로고스피어(블로그 생태계)가 형성되고 블로거가 급증하자 국내 기업들도 블로그에 차츰 눈을 돌리고 있다. 블로그마케팅 시장도 열렸다. 올해는 비즈니스블로그의 전성시대가 열리는 원년이 될 전망이다. ▶기업, 블로그 만나다= 올해는 국내 비즈니스 블로그의 양적ㆍ질적 성장이 예견되는 시기. 국내 비즈니스 블로그의 시초는 검색업체 첫눈의 블로그. 2005년 만들어진..

`위키아 서치` 첫선..검색황제 구글에 대적

`위키아 서치` 첫선..검색황제 구글에 대적 `위키아 서치` 7일 서비스 개시 오픈소스 지향..누구든 검색서비스 개선 참여가능 입력 : 2008.01.08 07:44 [이데일리 김윤경기자] `웹 2.0`의 대표주자인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 창업자 지미 웨일즈가 7일(현지시간) 구글에 대적할 새로운 검색 엔진을 선보였다. 웨일즈는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을 대표하는 위키피디아를 운영하는 비영리조직 위키미디어 재단(Wikimedia Foundation)과는 별도로 위키아(Wikia)란 법인을 설립, 이를 통해 검색 사업을 시작했다. 위키아는 집단적으로 편집되는 웹 페이지(Wikis)를 만드는 사람들에게 광고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올린..

IT&인터넷 2008.01.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