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전망… 수소전지 사용 대중화ㆍ디지털 안경도 필수품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이 컴퓨터가 되는 `유비쿼터스' 세상에서 `홀로그램 폰'으로 멀리 있는 사람과 악수하고 대화도 나눈다."
과학기술부가 `2030년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라는 궁금증을 갖고 실시한 과학기술예측조사와 제1회 미래 과학기술 아이디어 공모전 결과 등을 토대로 제작해 28일 내놓은 `2008년 남자, 2030 여자' 시나리오에 나오는 미래의 모습이다.
22년간 식물인간으로 누워 있다가 2030년 어느 날 갑자기 깨어난 남자는 "웨어러블 로봇이 있어 장애와 비장애의 구분이 없으며, `만국어 번역기'를 사용해 세상 누구와도 의사소통이 가능한" 세상을 체험하게 된다.
이 시나리오에 따르면 20년 후가 되면 석유를 대체한 `수소연료전지' 사용이 활발해지고 위치기반서비스(LBS) 기능이 있는 `디지털 안경'이 지금의 휴대폰처럼 필수품이 된다.
체험학습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3차원 가상현실 교육서비스'가 가능해져 집에서도 실험실에서 하는 실험을 가상으로 할 수 있고 `육아로봇'이 아이를 돌보며 가정주부를 돕는다. 또 미래사회를 획기적으로 바꿔놓을 전자책과 보통 사람의 몇 배의 힘을 내게 하는 웨어러블 로봇, 가판대에서 물건을 꺼내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결제되는 시스템 등도 흥미를 끈다. 미래 과학기술의 발전모습을 보다 생생하고 알기 쉽게 제시하기 위해 작성된 이 시나리오는 프롤로그인 `통합'편과 `세계ㆍ국가', `사회ㆍ문화', `경제', `자원ㆍ환경', `기술' 등 5개 분야로 구성돼 있다. 또 미래사회 모습을 구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도록 삽화도 곁들여졌다.
이 시나리오는 `제3회 과학기술예측조사 수정ㆍ보완' 보고서에 수록돼 있고 별도 파일로 제작된 전문은 과기부(www.most.go.kr)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www.kistep.re.kr) 홈페이지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박상현기자 psh21@
< 모바일로 보는 디지털타임스 3553+NATE/magicⓝ/ez-i >
|